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이하 헥사곤)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항공산업을 위한 혁신 제조 기술 컨퍼런스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헥사곤을 비롯해 그롭코리아㈜, 블라자 스위스루브 코리아㈜, (주)졸러코리아, (주)볼머코리아 등 항공 제조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공동 주최하며, 각
온라인기사 2025-06-19
LLM 등으로 AI 과학연산용 GPU 서버 시스템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PCle 5.0 기반 초고속 I/O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슈퍼컴퓨팅 AI 서버 국내 제조기업 ㈜코코링크가 고성능 컴퓨팅 서버 신제품을 발표했다고 발표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임팩트 빌딩 프로그램(Impact Buildings Program)’의 첫 번째 거점으로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스마트 오피스 ‘더 네스트(The NEST)’를 공식 오픈했다. ‘임팩트 빌딩 프로그램’은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전 세계 자사의 업무 공간을 보다 지속 가능하고 스마트한 공간으로
온라인기사 2025-06-17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프로페이스(Pro-face) HMI의 새로운 시리즈인 ‘GP600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HMI(Human Machine Interface)는 사람과 기계 사이를 연결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로, 산업 자동화 현장에서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온라인기사 2025-06-13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한국환경보전원(원장 신진수)은 중소녹색기업의 우수 녹색기술을 교류하고 국내외 판로개척 지원을 위해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COEX)에서 국내 최대 규모 환경전시회인 ‘제46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이하 엔벡스 2025)’를 열었다.
온라인기사 2025-06-12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한국지사 대표 권지웅)가 한화오션과 초고효율 모터(IE5) 공급 및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화빌딩에서 진행된 이날 협약식에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권지웅 대표, 이재혁 팀장, 하승목 팀장, 한화오션 유척근 수석부장, 배양섭 책임, 고재현
ABB가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대표 환경 산업 전시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ENVEX 2025, 엔벡스)’에서 최첨단 배출가스 모니터링 시스템과 스마트 수처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온라인기사 2025-06-1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대표 박광선)가 제30회 ‘환경의 날’을 맞아 환경보전에 기여한 공로로 환경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환경부는 매년 6월 환경의 날을 기념해 환경가치 수호와 환경정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선정해 환경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고 있다.
온라인기사 2025-06-05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이 발표한 2025년 전 세계 제조업체의 디지털 전환 실태를 분석한 스마트 제조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제조업계는 스마트 제조 기술로의 전환 속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전체 응답 제조 업체의 81%는 외부 및 내부 압력으로 인해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응답했
이 글에서는 나노기술의 한 갈래인 양자점(Quantum Dot)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양자점은 오늘날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브랜드명 QLED) TV에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기술 응용 범위는 텔레비전을 훨씬 넘어선다.
온라인기사 2025-06-04
이번 협약은 한전의 ‘데이터 안심 구역’을 중심으로 5개 에너지 공공기관 간 데이터 기반 협력을 제도화하고,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국민에게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협력 의지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온라인기사 2025-06-02
아르곤국립연구소에서 개발한 디지털 트윈 기술은 첨단 컴퓨터 모델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원자로의 작동 방식을 예측함으로써 운영자가 실시간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온라인기사 2025-05-31
벡터코리아(지사장 장지환)는 메가와트 충전 시스템(MCS, Megawatt Charging System)을 위한 통신 컨트롤러인 ‘vSECC.MCS’의 양산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vSECC.MCS컨트롤러는 MCS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충전 인프라 제조사(Charging Infrastructure Manufacturers)에 공급될 예정이다.
온라인기사 2025-05-30
응용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소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이다. 그러나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시스템 모델링은 개발자에게 큰 도전 과제이다. 이 연료전지는 개념상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복잡한 동역학적 특성을 지닌다. 전극
MIT 연구진은 이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프로펠 에어로(Propel Aero)’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했으며, MIT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The Engine’에서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초기 목표는 대형 드론용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온라인기사 2025-05-29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