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유클릭이 오라클과 함께 국내 AI 스타트업 ‘투디지트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투디지트는 오라클의 검증된 글로벌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사 AI 솔루션 ‘나인메모스’를 상용화하고, 미국 시장에서 본격적인 서비스 제공에 나설 계획이다.
온라인기사 2025-11-05
퓨어스토리지가 시스코와 함께 ‘플래시스택 시스코 인증 디자인’을 새롭게 발표했다. 이번 신제품은 엔비디아(NVIDIA)와 시스코가 공동 개발한 ‘시스코 시큐어 AI 팩토리’의 핵심 모듈인 AI 파드 컬렉션에 추가되는 구성이다. 이번 협력은 컴퓨트, 스토리지,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를 하나의 통합된 프로덕션급 플랫폼으
테트라팩이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적인 식음료 가공 박람회 ‘2025 걸푸드 제조 전시회’에서 차세대 자동화 및 디지털 플랫폼 ‘테트라팩 팩토리OS™’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테트라팩 팩토리OS™는 다양한 설비와 시스템을 연동해 공장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데이터의 맥락을 기반으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식음료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글로벌 이노베이션 서밋에서 새로운 비전을 발표했다. 올리비에 블룸 CEO는 전기화, 자동화, 디지털화를 통해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하며, 산업 전반의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고 고객 및 파트너와 함께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5-11-04
KAIST와 서울대 공동 연구진이 상온에서도 빠른 리튬 이온 이동이 가능한 초박막 고체 전해질을 개발했다. 기존 리튬메탈전지의 핵심 난제였던 상온 이온 이동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화재 위험이 적은 고효율 차세대 전지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됐다.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임베디드 AI 개발 환경을 혁신하는 ‘CodeFusion Studio 2.0’을 공개했다. 새로운 플랫폼은 AI 모델 가져오기부터 성능 분석·배포까지 엔드투엔드 워크플로를 지원하며, 제퍼 기반 프레임워크와 통합 디버깅으로 개발 효율성과 확장성을 크게 높였다.
LG전자가 글로벌 데이터센터 인프라 기업 플렉스와 손잡고 AI 데이터센터용 모듈형 냉각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사전 조립·테스트된 모듈 구조로 설치와 확장이 용이하며, 맞춤형 설계와 효율적인 열 관리로 데이터센터 운영 최적화를 지원한다.
온세미가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재생에너지 등 고전력 산업을 겨냥한 차세대 버티컬 GaN(vGaN) 전력반도체를 공개했다. GaN-on-GaN 기술로 고전압·고효율·소형화 구현, 전력 손실과 발열을 최대 50% 줄여 차세대 에너지 효율 혁신을 견인한다.
지멘스가 HD현대와 미국 조선산업 현대화·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디지털 트윈, MBSE, PLM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조선소 자동화와 생산 효율을 높이고, 인력 개발과 산업 기반 강화까지 추진하며 미국 조선업의 경쟁력 회복과 글로벌 확장을 모색한다.
슈퍼마이크로가 엔비디아 베라 루빈 NVL144·NVL144 CPX 플랫폼 기반 차세대 AI 인프라 솔루션을 공개했다. 정부용 표준 설계와 미국 내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대규모 AI·HPC 워크로드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지원하는 고성능·확장형 제품군을 강화했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AMD의 ‘스파르탄 울트라스케일+ FPGA’를 공급하며 산업 자동화, 로보틱스, IIoT, 엣지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이 제품은 고성능·저전력·보안 기능을 결합해 차세대 산업용 설계에 최적화됐다.
안리쓰가 AWS MX109030PC용 가상 네트워크 마스터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클라우드 및 가상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크 구간의 통신 품질을 정확하고 반복 가능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측정 솔루션이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5-11-03
엔비디아가 현대자동차그룹과 함께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의 새로운 AI 팩토리를 통해 자율주행차, 스마트팩토리, 로보틱스 분야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여 현대자동차그룹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소형의 효율적인 USB-PD 충전기, 고속 배터리 충전기, 보조 전원공급장치의 설계와 구현을 간소화하는 GaN 플라이백 컨버터 시리즈를 출시했다.
KAIST는 10월 31일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를 접견해 대한민국 AI 생태계 혁신 방안을 논의한 것과 관련해, 이번 만남이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글로벌 협력 강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11월 1일 밝혔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은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기고] 로드 덤프 이벤트로부터 차량용 프로토타입을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
[연재 기고] 강유전체 메모리,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 구현하다
[기고] O-RAN 라디오 검증하기: 실리콘부터 스마트 네트워크까지
[기고] 차량용 초음파 센서의 발전: ADAS부터 자율주행, 그리고 그 너머까…
[파워 컴퍼니] 에이치엘이엔지 김용주 대표 “클린룸 설계에서 시공까지…전력반도…
[파워 컴퍼니] 이노메스 송호진 대표 “AI와 빅데이터 활용한 IoT 기술로 …
[파워 컴퍼니] 신훈규 네이처플라워세미컨덕터 대표 “특허 기술 활용한 사업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