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온로봇은 고객사와 언론에 제품을 공개하는 행사에서 프로그래밍이나 시뮬레이션 없이 ?직접 로봇을 자동 배치하는 데모를 진행했다. 업체 측은 이런 점을 어필하기 위해 ‘업계 최초의 로봇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자동화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온라인기사 2023-01-17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이 17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초등학생 대상 눈높이 로봇 교육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협동로봇에 관심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 대상으로 진행되며, 2시간만에 협동로봇을 직접 동작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온라인기사 2023-01-10
포비아(FORVIA)는 미르(MiR) 로봇을 통해 물류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 공정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안전 위험성 감소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3-01-05
디스이즈엔지니어링(이하 TIE, 대표 홍유정)이 크리스마스를 맞아 자율비행 드론 선물 배송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오는 12월 14일~18일까지, 총 5일간 응모페이지(www.zerolap.com/event) 에서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온라인기사 2022-12-15
협동 로봇 전문 기업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의 ‘UR20 국내론칭 기자 간담회’에 참석한 이내형 한국지사 대표는 이렇게 '인간의 동반자'를 강조했다.
온라인기사 2022-12-07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수상 경력에 빛나는 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협업을 통한 혁신) 프로그램의 2022 시리즈의 마지막 에피소드를 발표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다방면의 산업 전반에 걸쳐 향상을 거두고 첨단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어진 자율이동로봇 (AMR)의 개발 현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온라인기사 2022-11-23
KAIST(총장 이광형)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연구팀이 인간 피부의 압력 감지 능력을 뛰어넘는 고감도 및 광범위 압력 측정이 가능한 로봇용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
지면기사 2022-11-18
온세미의 NCS32100 회전형 위치 센서는 유도 감지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설계되어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빠른 속도와 정확성 제공한다. 산업 및 로봇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온라인기사 2022-11-18
바이코(Vicor)의 Powering Innovation 팟캐스트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혁신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에서 겪는 도전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자 기술 적용 방법을 검토한다. 해당 시리즈의 첫 번째 에피소드는 무인 항공기(UAV) 시스템 제조사인 드래곤플라이 픽처스(이하 DPI)가 특별 지원한다.?
온라인기사 2022-11-17
엔비디아 젯슨(NVIDIA Jetson)이 카트켄(Cartken)의 배송 서비스형 로봇에 탑재됐다.?2019년 설립된 카트켄은 보도로 커피와 음식 등을 배송하는 서비스형 로봇을 공개했으며, 스타벅스와 그럽허브(Grubhub) 등 일부 고객 애플리케이션에 신속하게 로봇을 배치했다.
온라인기사 2022-11-03
KT가 ‘자율주행 스마트로봇체어’를 3주간 시범 운영한다. 이번 시범 운영은 서울디자인재단과 함께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이하 DDP) 디자인쇼룸과 디자인홀에서 전시 관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온라인기사 2022-10-26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분석한 글로벌 로봇산업 현황과 한국의 위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로봇 수요에도 불구, 로봇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주요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중국에도 뒤처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기사 2022-10-17
NXP반도체가 ‘지속 가능한 식량 생태계’를 주제로 제3회 호버게임 챌린지(HoverGames Challenge)를 개최한다.?올해 호버게임 챌린지는 개발자들이 보다 지속 가능한 식량 생태계를 위한 솔루션 개발에 도전하도록 장려하고자 마련됐다.
온라인기사 2022-10-11
LG전자가 일본 최대 쇼핑몰인 이온몰(AEON Mall)에 LG 클로이 가이드봇(CLOi GuideBot)을 공급하며 해외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K-UAM 드림팀 컨소시엄(SK텔레콤·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으로 구성)이 제주도에서 2025년 국내 최초 UAM 상용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제주공항과 주요 관광지를 잇는 시범운행 서비스를 위해 버티포트(이착륙장)와 UAM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온라인기사 2022-09-14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IoT 커넥티비티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일은
[칼럼] 달, 사건의 지평선... "2023년은 과학을 보자"
[말말말] 보이스피싱 차단에 인공지능을 도입한 이유 외
[편집장 노트] 이 겨울, 식물이라는 종합과학 선물세트
[베스트 제품] 코그넥스 “공장자동화 및 토털 물류 자동화 비전 업계 선두 기업”
[베스트 제품] 인피니언 “전력 시스템 및 IoT 분야의 글로벌 반도체 리더로 디지털화 선도”
[베스트 제품] TI “반도체 통해 더 나은 세상 만들고자 하는 기술적 진보 정신 반영해”
[베스트 제품] 로옴 “탈탄소, 에너지 절약의 키 디바이스인 파워 및 아날로그 반도체 제공해”
[베스트 제품] 아나로그디바이스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전력 관리 등 포괄적 제품 제공해”
[베스트 제품] 바이코 “시스템 성능 혁신하고 극대화하는 고성능 전력 모듈의 리더”
[기고] 와이드밴드갭(WBG) 기술로 마이크로그리드는 어떤 이점 얻나
[기고] 개인화, 디지털화, 몰입감을 선사하는 첨단 자동차의 비밀
[기고] EtherNet/IP와 함께 장치 레벨 링(DLR) 사용하기 1
[DT 스타트업] 바이메타 전광열 대표 “산업데이터 처리, 세계 최고 기술력 …
[DT 스타트업] 유메디헬스케어 윤선구 대표 “병의원 원내 처방시장의 온라인화…
[DT 스타트업] 모터헤드 심현섭 대표 “고객에게는 연료비 절약, 국가엔 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