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기초과학연구원, 동작속도 50배 향상된 2차원 반도체 소자 개발
전력 손실이 적고 속도가 빠른 차세대 반도체 소자가 개발됐다.
지면기사 2015-09-07
전력 반도체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여느 어셈블리 공정이나 마찬가지로 먼저 필요한 다양한 소자 부품들의 포장을 풀어야 한다.
견고한 이산 전원장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전문성을 필요로 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전원 모듈은 플러그앤플레이로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신뢰성이 뛰어난 디자인을 제공하므로 훨씬 더 빠르고 쉽게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
극저 정지 전류 LTC3388 에너지 수집 벅 레귤레이터, 나노전력 소모에 사용하기 위한 LTC3331 에너지 수집 벅 레귤레이터, 쿨롬 카운터를 통합한 LTC3335 벅-부스트 레귤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설계를 대폭적으로 간소화하고 향상된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고성능 절연 SPI 솔루션의 설계에서 SPIsolator 제품군은 다중화된 제어 채널을 사용해서 전달 지연이 매우 낮은 고속 SPI를 지원하며 AUX 기능 통합을 최대화한다.
이 글은 iOS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언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24시간 안에 IoT 앱을 만드는 과정을 다룬다.
광전소재연구단, 대면적 그래핀 합성 성공… 신기술 장 열어
반도체 기술은 단위 면적당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열처리 문제 때문에 제대로 성능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에 도달했다.
지면기사 2015-08-03
아두이노를 포함하여 1만 원에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모듈을 만들어보자. 1만 원이지만 굉장히 안전하고 깔끔한 하우징까지 가능하다. 테스트 목적이 아닌 실제 사용할 것이다.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리튬이온전지 만들 수 있는 고체 전해질물질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은 최근 높은 에너지 효율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리튬 이온 전지를 만들 수 있는 고체 전해질 물질을 처음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데이터 손실·지연 최소화, 4G 핸드오버보다 스위칭 속도 10배 빨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흥남)이 지난 7월 10일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한 ‘저지연 빔(beam) 스위칭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미세공정 핵심요소 EUV·QPT에 관심 고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미세공정으로 전환하며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힘쓰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공장의 정문을 닫고 문만 지키면 내부의 보안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주행거리 연장과 충전 속도 향상의 큰 진전
내연기관 승용차의 전기자동차(순수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카) 채택이 수 년 전 업계 관계자들이 예측했던 것만큼 빨리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친환경에너지·저전력 실현 필수
네트워크 시장의 고속화와 인터넷 트래픽의 기하급수적 증가로 인해 데이터 센터의 모습이 변화하고 있다.
ETRI, 이동무선백홀보다 100배 빠른 MHN 기술개발 성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흥남)이 약 3년 간 걸친 노력으로 이를 해결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말말말]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