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시공, 컨설팅 및 사후관리(MRO)까지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
김 대표는 젊은 시절, 냉동공조를 시작으로 클린룸 분야(삼성반도체 外 25년)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그래서 반도체에 국한하지 않으면 미래 다양한 시장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고객에게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설계, 시공, 컨설팅 및 사후관리(MRO)까지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되는 토털 솔루션을 제공해 보자”
㈜에이치엘이엔지의 김용주 대표는, 이렇게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선도적 기업 성장을 목표로 사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용주 대표, ㈜에이치엘이엔지
“반도체 분야와 FPD 분야의 침체로 동종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쌓아온 노하우를 토대로 전력반도체와 이차전지 분야라는
새로운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우리 회사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인 고객의 요구에 맞는
설계, 시공 그리고 에너지 절감형 제품은 동종업계 최고의 기술력이라고 자부합니다.”
이 회사는 창업(2010년 3월) 이래,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의 클린룸(Clean Room) 설계, 시공을 해왔다. 창업 당시 클린룸은 초정밀 산업 분야의 필수적인 설비로 반도체, FPD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국내 클린룸 분야에서 다양한 설계 시공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이차전지 산업의 발전에 발맞춰 드라이룸(Dry Room)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실적을 내고 있다.
김 대표에게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는다.
Q. 클린품 분야에서 다양한 설계 시공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셨는데, 요즘 상황은 어떠한가.
최근에는 클린룸 설계 시공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은 반도체와 이차전지 분야의 에너지 절감과 고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산학연 공동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동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그동안 축적된 엔지니어링 기술과 연구개발을 통한 미래가치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ESG 우수중소기업으로 지정되어 회사의 이익과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에 이익이 되는 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CLEAN ROOM
Q. 그렇다면, 시장에서 귀사 제품이 내세우는 경쟁력과 차별성은 무엇인가.
요즘은 국내외 산업계가 불안정하고 예측 가능한 시장을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 반도체 분야와 FPD 분야의 침체로 동종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쌓아온 노하우를 토대로 전력반도체와 이차전지 분야라는 새로운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우리 회사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인 고객의 요구에 맞는 설계, 시공 그리고 에너지 절감형 제품은 동종업계 최고의 기술력이라고 자부합니다.
또한 당사는 MRO 사업부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시공과 납품이 끝이 아니라 철저한 사후관리와 공장운영 기술까지도 제공이 가능합니다. 결국 다양한 요소기술을 바탕으로 컨설팅, 설계, 시공, 사후관리, 운영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차별성을 갖고 있는 회사라 자부합니다.
BIO CLEAN ROOM
“향후 우리 회사는 보유 기술력을 고도화하여 초정밀/고청정
에너지절감형 환경유지장치를 개발하고 출시할 계획입니다.
이 기술은 산업계 전반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특히 전력반도체와 같은 최첨단 기술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Q. 제품의 차별성은 잘 들었습니다. 그 외의 회사의 경쟁력이 있다면
다시 말씀드리지만, 우리 회사는 컨설팅, 설계, 시공, 제조뿐 아니라 MRO 사업 분야도 진출하였습니다. 고객사 설비의 사후관리와 공장 운영까지 자체 인력으로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시공 설치한 설비를 포함한 고객사의 모든 설비를 컨설팅 통해서 새로운 운영안을 제공하고, 통합운영 솔루션을 지원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수율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Q. 소개하신대로 원스톱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회사의 인프라가 확실해야 할텐데, 어려움은 없나요.
설비 업종은 힘들다는 생각하는지 젊고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회사는 이러한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일터 혁신을 위해 AI, IoT 등을 적극 도입하여 업무혁신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일상적인 업무나 반복적인 업무는 맞춤형 S/W를 도입하고 나머지 시간은 자기 계발과 학습조직을 구성하여 임직원의 역량을 제고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업무혁신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직원들이 일하기 좋은 일터를 만들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Q. 그간 성과도 많았을 것 같습니다. 사례를 소개해 주신다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던 COVID-19 재난 상황에서 대량의 진단 키트 제작이 필요한 바이오 기업들의 긴급 클린룸 확장 수요가 있었습니다. 그러한 급박하고 절실한 상황에서 우리 회사가 조금이나마 일조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에서 회사가 급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사업 초기부터 꿈꿔왔던 임직원 해외 여행을 매 2년마다 진행하였습니다. 행복해하던 직원들의 모습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청년 기술 인력 부족을 시니어 인력 채용 확대로 극복하고 높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기술 경영을 실천했습니다. 우리는 정년 퇴임 없는 기업을 이루어 가고 있습니다. 실제 올해 칠순을 맞은 직원에게 축하금을 지급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습니다.
Q. 직원들과 함께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인데요.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요.
향후 우리 회사는 보유 기술력을 고도화하여 초정밀/고청정 에너지절감형 환경유지장치를 개발하고 출시할 계획입니다. 이 기술은 산업계 전반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특히 전력반도체와 같은 최첨단 기술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중소기업으로 부족한게 많지만 차근차근 미래를 준비하여 기술주도형 강소기업으로 거듭나고 직원들이 행복하게 일하는 좋은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우리 회사 핵심 제품은요
R&D 강화 통한 제조 분야의 사업 아이템 개발에 초점
수가습 시스템, 플러그팬, 국부 제습장치 등 연구 개발
지금까지 ㈜에이치엘이엔지의 비즈니스 모델은 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하는 EPC 회사로 성장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R&D 강화를 통한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자 제조 분야의 사업 아이템을 선정하여 개발하고 있다. 다수의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한 기술 고도화 제품의 양산과 새로운 제품의 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다.
DRY ROOM
- 수가습 시스템
가습장치는 공조 장비에 필수로 설치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가습은 물을 전기히터로 가열하여 가습하는 방식과 보일러에서 발생시킨 스팀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에이치엘이엔지에서 개발한 수가습시스템은 별도의 가열장치 없이 물을 직접 분사하여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공조 장비에 적용하여 에너지 절감과 고성능 가습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 플러그팬(Plug FAN)
공조 장비에는 대용량의 팬(FAN)을 이용하여 대량의 공기를 필요한 곳에 공급하고 있다. 이 경우 팬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장비 전체가 셧다운(Shut Down)되어 생산 공정에 차질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에이치엘이엔지의 플러그팬은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부하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고 설치 면적도 작고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도록 BLDC 모터제어가 가능하여 고객의 니즈(needs)에 부합하도록 개발하였다.
- 국부 제습장치
에이치엘이엔지의 제습장치는 국부적으로 초저습 환경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하였으며 반도체, 이차전지 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콤팩트한 장비 사이즈로 개발되었다. 반도체 분야에도 저습 환경이 필요한 분야와 이차전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객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맞춤 설계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