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타트업 초기 투자금과 회수율 현저히 떨어져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이 여전히 저조한 상태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FKI) 국제협력팀의 이소원 팀장은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 글로벌 비교’라는 자료에서, 스타트업 정보 분석기관인 ‘스타트업 게놈(Startup Genome)’의 스타트업 생태계 보고서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초기 투자금 규모가 작고 투자금 회수도 어려워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인 것으로 드러났다.
2018년 국내 벤처투자 금액은 3조 4,249억 원으로 글로벌 벤처캐피탈(VC) 투자금액 2,540억 달러(약 300조 원)에 현저히 못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기술기반 스타트업(Tech Startup)들은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초기 투자금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스타트업 게놈은 서울의 초기단계 기술기반 스타트업당 평균 투자금은 107,000달러로 글로벌 평균 투자액 284,000달러의 1/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액 기준으로 보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진다.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글로벌 도시의 평균 투자총액은 8억 3,700만 달러로 서울 8,500만 달러의 약 10배에 이른다.
한국은 M&A를 통한 투자금 회수규모가 글로벌 시장의 0.1%도 안 되었다. 스타트업 투자금 회수에 있어 M&A가 세계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M&A를 통한 투자금 회수(’18년 25개사)보다 IPO(’18년 144개사)가 더 활발하다. M&A를 통해 조기에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이다. 그 결과 M&A를 통한 국내 벤처투자 회수금액은 670억 원으로, 글로벌 스타트업의 총 회수금액 약 2,190억 달러(260조원)의 0.03% 수준에 그쳤다.
또한 작년 M&A로 투자금 회수에 성공한 한국 벤처기업은 단 25개사로, 같은 방식으로 회수를 진행한 글로벌 벤처기업의 0.6%(4,228개사) 수준에 불과했다. 스타트업 게놈의 보고서에서도 한국은 “투자금 회수 성장 지표(Exit Growth Index)” 부문에서 10점 만점에 4점을 받았다. 앞서 언급한 “초기 투자금 성장 지표”와 더불어 두 부문이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 경쟁력을 하락시키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스타트업 인수 안하는 국내 대기업
또한, 벤처 M&A시장에서 글로벌 유수기업들이 인수자로서 활발히 활동하는 반면, 우리 대기업들은 눈에 띄지 않고 있다. ’10년∼’18년 동안 이루어진 스타트업 M&A 세계 30대 인수기업(Acquirers)에는 한국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반면 미국의 경우 22개사가 포함돼, 스타트업 M&A 시장에서 기업들의 활발한 참여가 투자금 선순환 구조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밸리 및 미국의 여러 도시들이 최고의 스타트업 생태계로 인정받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실업 문제, 스타트업에서 찾아야
스타트업 게놈은 격년으로 보고서를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가 잘 구축된 도시 Top20을 발표한다. 서울은 세계 도시와의 초기 투자금 격차, 투자금 회수의 어려움 등으로 ’19년 조사에서도 20위권 진입에 실패하면서 조사가 시작된 ’12년 이후 7년간 단 한 차례도 순위에 들지 못했다. 스타트업 생태계 상위 20위 지역은 북미 50% 유럽 25%, 아시아 20%, 기타 5%로 북미권이 독보적인 경쟁력을 점하고 있다. 아시아는 ’12년 싱가포르 등 2개 도시에서 ’19년 4개 도시가 포함되어 증가세를 보였으며,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는 ’17년 순위에 처음 진입하자마자 각 4위, 8위로 상위권에 랭크되었다.
스타트업의 활성화는 높은 실업률과 저성장에 갇힌 한국경제에 주요 돌파구 중 하나이며, 특히 청년실업의 현실적 해법으로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중기벤처부에 따르면 ’18년 벤처투자를 받는 국내 벤처?스타트업 1,072개사의 고용인원은 41,199명으로, ’17년 대비 20% 늘어난 6,706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현 정부에서 스타트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규제 샌드박스, 스타트업 육성정책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아주 환영할 만하다”며, “결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커지기 위해서는 스타트업들이 초기 투자금을 원활하게 유치하고 투자자들은 쉽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가 중요하다. M&A 활성화 등 국내외 투자자가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