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태그 검색 #그래핀
370 x 470 mm 크기, 유연성 좋고 투명도 85%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기존 OLED 디스플레이용 전극으로 많이 활용되던 인듐주석산화물(ITO) 대신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을 이용, 전극을 만들어 디스플레이 개발에 성공했다.
온라인기사 2017-04-12
국내 연구진이 미래의 전자소자로 주목받는 저차원(1~2차원)계 신물질의 양자물성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필요한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온라인기사 2017-02-01
레이저 열처리 기법을 통한 저온가열 방식이 그래핀 합성에도 활용 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온라인기사 2016-12-13
한국연구재단은 이현정 교수(국민대) 연구팀이 다공성 구조의 환원된 산화그래핀 필름을 새롭게 개발해 열을 전기로 바꾸는 에너지의 발전 효율을 약 1,200배 증가시키고 2차원 구조 에너지 전달체의 한계를 벗어났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16-12-07
면저항·투과도 특성 동시 제어가능한 그래핀 합성 성공
ETRI는 면저항·투과도 특성을 동시에 제어 가능한 4인치 크기의 대면적 고품질의 그래핀 합성기술을 개발,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지난 15일자로 게재되었다고 28일 밝혔다.
온라인기사 2016-04-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고문주 박사팀은 산화 그래핀을 화학적 방법을 통해 기능화하고 저가의 범용에폭시와 혼합하여 고내열 고강도 성능을 구현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온라인기사 2016-01-29
광전소재연구단, 대면적 그래핀 합성 성공… 신기술 장 열어
반도체 기술은 단위 면적당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열처리 문제 때문에 제대로 성능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에 도달했다.
지면기사 2015-08-03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차세대 반도체 소재 합성기술 개발
이황화몰리브데늄을 그래핀처럼 단일층화하는 기술이 최근 개발됐다.
지면기사 2015-04-07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NeW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말말말]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