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의존도 최대 8배 높은 첨단산업, 전력망특별법 입법 등 필요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은 전력의존도가 높아 이들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위해서는 전력수급 문제 개선이 시급하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최근, 보고서(특화단지 전력수급 애로 개선방안)를 통해 전력망특별법 입법, 무탄소에너지 조달수단 에너지원 범위 확대, 소형모듈원자로(SMR) 전력판매가격 변동성 완화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이하 첨단산업)의 전력수급 애로 개선을 위한 법 제도적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의 전력의존도가 타 산업에 비해 최대 8배 높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실제로 7개 특화단지 조성으로 15GW 이상의 신규 전력수요가 예상된다. 이는 전국 최대전력 평균 72.5GW(‘23년 기준)의 20%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신규 전력수요 충당을 위해서는 장거리 송전선로 신축 등 송·변전망 구축 사업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송·변전망 구축 사업의 적기 준공률은 17%(7건/42건)에 불과해 사업 추진에 차질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송·변전망 구축 사업은 당초 계획 대비 평균 3년 5개월, 최대 7년 6개월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준공 지연 사유는 송·변전설비 주변지역에 대한 주민 민원, 개발사 지연 등이었다.
무탄소 에너지 조달해야
무탄소 에너지 조달에 대한 정부 지원도 시급하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특화단지 내 무탄소에너지가 공급되는 시점은 2037년 이후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글로벌 원청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요구로 당장 무탄소에너지 조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송변전망 확보 지연 사례(송도 바이오클러스터)
한경협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과제로 ① 무탄소에너지에 원자력 포함, ② 국가기간전력망특별법의 조속한 입법, ③ 전력판매가 변동성 완화를 제시하였다.
정부가 주도하는 CFE(Carbon Free Energy) 이니셔티브에 발맞춰 조달 가능 무탄소 에너지의 범위에 원자력 발전을 포함시켜야 한다. 원자력 발전은 태양광, 풍력 등 기존 재생에너지에 비해 발전 비용이 저렴하여 무탄소에너지에 대한 초과수요 해소는 물론 에너지 조달비용 상승을 완화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한경협은 전력망 건설과정 및 인허가 절차 등을 간소화하여 전력망 건설의 지연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전력판매가격 고정을 통해 소형모듈원자로(SMR) 활용도 제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