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 테크놀로지스 2025 서베이, 한국 포함 전세계 40개 국가 대상으로 AI 혁신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조사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40개 국가의 비즈니스 및 IT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AI 도입과 비즈니스 혁신에 대해 조사한 ‘델 테크놀로지스 2025 서베이’ 보고서를 발표했다. 상당 수의 기업들이(한국 76%, 글로벌 80%) 생성형 AI 및 AI가 비즈니스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인식하는 한편 이를 위한 통합이나 운영에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절반 가량은(한국 49%, 글로벌 48%) 이미 데이터 사이언스 조직을 갖추고, 생성형 AI 솔루션을 구축하는 등 AI 여정의 성숙기에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 AI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거나 생성형 AI 사용 사례를 정의하는 초/중기 단계는 지난해 57%에서 올해 49%로 줄어들며 성숙기에 진입한 비율이 늘어났다. AI 도입을 통한 효과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해서는 상당수가(한국 79%, 글로벌 82%) 실질적인 결과를 기대한다고 답했고, 기대하는 ROI(투자 대비 수익률) 수치는 글로벌 평균이 32%, 아태지역 평균이 33.3%인 것에 비해 국내 기업의 응답률은 38.4%로 비교적 높은 기대치를 기록했다.
AI 도입 및 구축 방식에 대한 질문에 대해 국내 기업들은 ‘전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존’하거나(34%), ‘자체 데이터를 통제하면서 GPUaaS(서비스형 GPU)를 사용한다’는 응답(38%)보다 ‘데이터의 민감도 및 활용 사례에 따라 하이브리드 방식을 취하겠다(52%)’고 답한 비율이 훨씬 더 높았으며, ‘AI PC를 이용해 로컬에서 AI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겠다(49%)’는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글로벌과 한국 응답자들의 대부분(95%)이 AI 도입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은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47%)’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고, ‘내부 전문성 부족(42%)’,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38%)’를 우려했다.
AI 워크로드를 위한 인프라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 국내 기업들은 29.2%(서버), 31.5%(스토리지)가 그렇다고 답했다. 글로벌 응답도 서버와 스토리지 모두 32%로 유사한 수요를 보였다. 서버 및 스토리지 업그레이드의 주요 동인으로는 ‘데이터 보안 강화(53%)’, ‘CPU 및 GPU 등 프로세싱 파워 향상 (51%)’, ‘고성능 스토리지 도입(45%)’ 순으로 조사됐다. 데이터 급증에 따른 스토리지 확장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해서는 ‘성능과 전력 소모 간의 균형(56%)’,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48%)’, 새로운 스토리지 솔루션 통합 (40%)’ 등의 요인을 꼽았다.
모던 워크플레이스 측면에서 한국 92%, 글로벌 90%가 생성형 AI를 사용해 더 직관적이고 개인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해 필요한 요소에 대한 질문에는 ‘데이터 품질 개선(43%)’, ‘AI 인프라 및 AI PC에 대한 투자(38%)’, ‘거버넌스 정책(35%)’, ‘여러 부서에 걸쳐 생성형 AI 도입을 주도하는 전담 조직(31%)’ 등으로 답했다.
혁신에 대한 기대와 보안에 미치는 위협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드러났다. 응답자의 대부분(한국 89%, 글로벌 87%)이 생성형 AI가 사이버 보안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지만, 오히려 AI 기술의 발전 때문에 사이버 공격 표면이 늘어나는 것이 우려된다고 답한 비율이 국내 75%, 글로벌 59%에 달하여, 우리 기업들이 특히 보안에 높은 우려를 나타냈고 있음을 시사했다. 공급망이 보안 태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도 국내 응답률은 글로벌 87% 보다 다소 높은 92%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AI와 지속가능성의 상관 관계에 대한 조사도 다뤘다. 상당수가(한국 82%, 글로벌 84%) AI 기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우려를 표하는 한편,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고 지속 가능 운영을 강화하기 위해 AI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국내 기업의 90%, 전세계 기업의 93%가 AI로 인한 전력 소비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액션을 취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97%, 전세계 기업의 88%가 IT 솔루션을 구매할 때 지속 가능 설계와 에너지 효율성을 주요 선택 요인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의 김경진 총괄사장은 “많은 기업들이 혁신을 위해서는 AI가 필수 불가결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실행을 위한 전문성·인프라·데이터 등의 준비에는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시스템 통합에 적합하게 인프라를 재구성하고, AI 시대에 필요한 데이터 보호 전략을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