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리얼 플랫폼 기반 신규 스택으로 향상된 스펙트럼 효율성 연결성 제공
엔비디아(CEO 젠슨 황)가 미국 최초의 6G용 AI 네이티브 무선 스택에 대한 개발 소식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차세대 무선 기술을 발전시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업계 선두 파트너들인 부즈 앨런(Booz Allen), 시스코(Cisco), 마이터(MITRE), ODC, T-모바일(T-Mobile) 등과의 협력이 포함된다.
AI는 이제 스마트폰, 카메라, AR 안경,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와 기타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는 전례 없이 엄청난 규모와 효율성으로 수십억 개 연결을 지원해야 하는 부담을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통신 센싱 통합(ISAC)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전체에서 AI 네이티브가 돼야 한다. ISAC는 물리적 환경과 디지털 환경 연결에 핵심적인 감지 기능이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AI 네이티브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신호 전송에 쓰이는 무선 주파수인 스펙트럼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I-RAN 아키텍처는 차세대 무선 통신의 핵심이다. 이는 연결, 컴퓨팅, 센싱 기능을 모두 소프트웨어 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하나의 공통 플랫폼으로 결합한다.
엔비디아의 통신 부문 수석 부사장 로니 바시스타(Ronnie Vasishta)는 “6G는 처음부터 완전히 AI를 중심에 두고 개발하고 있어 극강의 스펙트럼 효율성, 막강한 연결성, 획기적인 애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하다”며 “엔비디아는 6G로의 전환에서 미국이 주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업계 선두 업체들과 협력해 여러 고급 기능을 갖춘 AI 네이티브 무선 스택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