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ODVA 이더넷-APL+EtherNet/IP 컨퍼런스 개최
ODVA는 2023년 4월 27일 ‘제1회 ODVA 이더넷-APL+EtherNet/IP 컨퍼런스’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는 2023 국제 전기전력전 부대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ODVA TAG KOREA의 김영석 회장은 영상 인사를 통해 프로세스 계장에서 “EtherNet-APL”이라는 새로운 국제표준이 탄생함을 국내에 처음 알리고 “이 기술은 최신 개발된 프로토콜이며 기술적인 장점이 많은 점을 행사에 참여한 엔드 유저들에게 알리고 이 기술을 발표하는 연사들과 행사참여 기업들과 엔드유저 간에 좋은 만남의 장을 만들어 주시기를 기대한다”는 요지로 인사말을 전했다.
ODVA 컨퍼런스의 주요 행사 내용을 소개한다.
이번 행사의 초점은 이더넷-APL은 과연 무엇이며 어떻게 PROCESS 계장 분야에 응용되며, 프로세스 현장에서 아날로그인 전기/공기신호로 검출되는 물리량이 어떻게 이더넷으로 바뀌어 APL[Advanced Physical Layer]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우드나, 디지털 전환[DX]이 되는지, 에 대해 ODVA의 기술 발표와 초청된 2명의 외부 전문가와 4명의 ODVA 회원사(Endress+Hauser, Rockwell Automation 등)의 기술 발표를 리포트 형식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행사 내용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행사참여 당사자들의 이해가 있기를 당부드린다.
조익영 전무 [이더넷-APL] 발표, ODVA TAG Korea
용어의 정의: 이더넷-APL[Advanced Physical Layer]는 한글로는 고급물리계층이란 의미를 갖는 말로써 PROCESS 계장분야에는 IS[Intrinsic Safety/본질안전]나 방폭 등의 여러 가지 고급 사양이 붙는 물리계층이란 의미이며, 길이가 1,000m인 SPE[Single Pair Ethernet/단일 쌍 이더넷] 배선을 사용한다.
이 배선은 기존 자동화 분야의 산업용 이더넷이나 필드버스에서 사용하는 [“A” Type] 케이블과 동일한 케이블이며 다만 배선 길이에서만 차이가 나는데 이것은 기존 배선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발자들이 배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더넷-APL 배선은 길이가 1,000m라는 점이 기존의 필드버스 배선과 차이가나는 부분이다.
이더넷-APL 배선은 1개의 동축케이블 비닐커버 속에 2개의 선이 들어 있는데, 2선 중 1개는 DC 파워선[+]이며 1개는 인터넷선[-]으로 구성이 되어있고, 그 접점들은
그림 1에 표기되어 있다. 그림 1의 3번 단자는 차폐선[Shield cable]이다. 즉 어스[Earth]선을 의미한다. [이더넷-APL은 통신 프로토콜과 무관한(중립 접지)]이다. 그리고 ODVA에서는 이더넷-APL 국제인증을 2022년 11월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국제인증을 받고자 하는 벤더는 www.odva.org에서 신청 할 수 있으며, 이더넷-APL 프로토콜은 802.3cg이다.
SPE[Single Pair Ethernet] 케이블의 상세 구조도는 그림 2와 같다. 즉 1개의 비닐커버 속에 녹색의 인터넷 배선[-극성]과 밝은 청색[+극성]의 DC파워선 2개의 배선과 배선커버 안의 은색 차폐선[shielding wire] 1개가 들어 있는 배선이다. 우측에 4개의 기호가 SPE[Single Pair Ethernet] 케이블의 상세 구조를 말해주고 있다.
이는 배선길이가 1,000m인, 방폭 가능한 직류[D.C]를 사용하며 이동 속도가 10Mbit/s인 배선을 말한다. 다른 해석으로 SPE(Single Pair Ethernet)이다. 1개의 “COVER” 속에 들어있는 → “Single”/2개의 배선 → “Pair” 케이블 속에 흘러가는 내용물 → “Ethernet” = Single Pair Ethernet [해설: 1개의 동축케이블 커버 속에 들어있는 2개의 케이블을 말하며, 그 속으로는 이더넷(Ethernet)이 흘러간다]이다.
이더넷-APL은 결국 [SPE]선 또는, [“A” TYPE 케이블]에 다름이 아니다. 신규 이더넷-APL 배선과 기존의 배선을 서로 어떻게 연결하면 될까? 다음의 배선의 예를 살펴보기로 하자.
이상 3개의 유스 케이스 설명을 보고 APL에 대한 이해가 조금 더 진전되기를 바란다. 다음은 이더넷-APL의 ODVA 인증을 2022년 11월부터 실시하는 정보를 공개한다. 인증을 원하는 벤더는 www.odva.org에 들어가면 인증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많이 활용하기를 바란다.
특별 강연
박한구 전 단장,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혁신 전 단장/DX를 통한 제조업의 이더넷 미래”[내용 생략]
임채성 교수, 미IIC BIDX/BDA 태스크그룹 Co-Chair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DX혁신” [내용 생략]
발표: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산업용 프로토콜 이더넷-APL
ADRIAN STANGL, 엔드레스하우저(Endress Hauser) Digital Solutions(Switzerland)

엔드레스하우저의 Mr. ADRIAN STANGL[스위스]은 이더넷-APL에 대한 세부정보와 이더넷-APL을 통한 추가되는 값들과 추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더넷-APL 프로젝트: 2016년부터 2022까지 실행하였으며, 표준 조직과 DCS 센서, 액추에이터, 인프라 구성요소 공급업체와의 협업이 진행되었다고 헸다. 그는 다음과 같이 이더넷-APL을 소개했다.
- 이더넷-APL은 통신 프로토콜과 무관한 “[중립접지]”이다
- 이더넷-APL 스퍼[SPUR]는 극성에 구애 받지 않는다(“+” 와 “-”를 혼동해도 문제가 전혀 발생 하지 않는다.)
- 이더넷-APL 프로젝트는 2016-2022까지 진행이 되었다.
- 표준조직과 공급업체(DCS, 센서, 액추에이터, 인프라 구성 요소공급자)와의 협업을 시행하였다.
- 이더넷-APL의 주요 특징: 2 와이어 장거리 통신이며[전력+통신] 모든 위험영역에 적합하다.
- [예: 0번 구역(Exia) 또는 1번 구역(Cl. 1 Div I)] / 이더넷 APL 프로젝트 조직은 표준조직이다.
- APL 필드 스위치는 별도로 전원이 공급된다.
- 필드장치는 필드 스위치의 APL포트에 점 대 점으로 연결된다(지선 Spur 케이블 길이 200m)
- 대부분의 APL 필드 장치는 루프 방식이다.
- 예외 E+H Promass 및 Promag 300/500[0.5]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 트렁크[Trunk] 및 스퍼[Spur] 토폴로지(스위치 n. a.)로 구분되어 있다.
- APL 전원 스위치는 필드스위치 및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APL 필드 스위치
이더넷-APL 토폴로지 해설
1) 그림 9의 첫 번째 있는 장비[Process Controller/DCS] / 위 두 번 째 장비[Field Care SFE500] / 세 번 째 장비[Web Client Server] /네 번째 장비[Netilion / Endress+Hauser의 Cloud Software]
2) 연두색 선[기존 이더넷 선], 주황색 선[이더넷-APL 점증되는 안전 선], 진청색 선[이더넷-APL 본질안전선]
3) 그림 9 하부의 청색을 띄는 선들은 온도/압력/유량/레벨Transmitter 연결 APL 지선인 Spur 선들이다.
4) 그림 9의 청색을 띄는Transmitter들에서 중간의 연결된 4개box는 모두 APL필드 스위치들이다.
5) 좌측 첫 번째 APL-필드 스위치와 두 번째 APL필드 스위치 사이에 표기된 것 중 첫 번째에 표기한 것은 CVV-SB X 2ㅁX 2C[구리선이다]. 이것은 트랜스미터에서 100M 밖에는 연결이 안 된다.
6) 그 다음 표기된 것은 광섬유 케이블인데 2,000m까지 연결 가능하다, 두 번째 필드스위치와 이더넷-APL 지선인 청색의 Spur 배선 길이는 200m이다.
7) 세 번째와 네 번째 필드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주황색 배선은 이더넷-APL의 간선[Trunk]으로 1,000m 길이를 갖는다. 그림 3의 이더넷-APL 토폴로지에 나와있는 이더넷-APL의 간선[Trunk] 길이는 종전의 PLC 산업용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길이 700의 IEC에서 인증받은 [“A” Type] 배선과 동일한 이더넷-APL의 또 다른 1,000m 짜리 [“A” Type] 배선이다. 좀 헷갈리는 면이 있기는 하나, 이 이더넷-APL선은 산업용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길이 700m [“A” Type] 배선과 재질이 똑같은 배선이긴 하나 필드버스용[“A” Type] 배선은 길이 700m이고 APL용[“A” Type] 배선은 길이가 1,000m인 차이가 있다. 그럼 ‘왜’ 기존의 산업용 이더넷 선과 이더넷-APL 재질이 똑같은 것이냐고 묻는다면, 그 해답은 기존의 산업용 인터넷선 또는 필드버스선과 현재의 이더넷-APL선을 같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자재와 호환성을 갖기 위해 동일재질로 만듦으로써 기존 배선을 새 기기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고 비용을 절감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 재미있는 것은 1,000m 이더넷-APL 간선[TrunK]과 지선[Spur]을 혼용해 사용하면 필드계기에서 DCS까지 이더넷-APL 장치일 경우 필드스위치를 썼을 때에는 그 동안 안 되었던 Cloud/DX[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디지털트윈/산업사물인터넷[IIoT] 등이 모두 가능하다는 점이다. 고로 이더넷-APL은 산업용 장치이긴 하나 온전한 이더넷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다. 또 우리는 이 1,000m짜리 이더넷-APL[“A” Type]선을 다른 이름으로 SPE[Single Pair Ethernet/ 단일 쌍 이더넷]이라 부르기도 한다. 물론 여기에 Endress+Hauser[ODVA 회원사]는 네틸리온[Netilion]이라는 우수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가 있으므로 더욱 더 이더넷-APL이 활성화되고 있다
- 이더넷의 이점과 2-와이어 기술의 이점을 결합한 이더넷-APL은 극성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와 “-”를 혼동해도 O, K이다.)
- Ethernet-APL은 단순 강력한 2와이어 기술의 이점[SPE]과 Ethernet의 이점 두 가지를 결합한 기술이다.
- 전체 수명주기 동안 이더넷-APL을 사용하면 장점이 상당히 많다. 계획 및 엔지니어링으로 시작 설치/통합/ 시운전을 통해 모든 라이프 사이클 단계에서 얻을 수 있는 게 이점 중 하나이다.
- 예제 사용사례: 커미셔닝. 자동장치 매개 변수화. 원격 액세스를 통한 상세장치 매개 변수화 역극성 보호 및 네트워크 진단으로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 예제사용 사례: 운영 / 성능 최적화./ 더 많고 더 빠른 고해상도 프로세스 데이터 / 보고서의 신속한 작성 / 두 번째 채널 / NAMUR 오픈 아키텍처 사용 / 클라우드를 위한 간편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 사용 사례: MRO/빠른 장치 교체 및 매개 변수 백업/복원/구성, 검증 및 진단에 대한 간편한 원격 액세스 / 유연한 공장 확장이 가능하다.

발표: 이더넷-APL을 이용한 산업용디바이스의 상태 및 자산 모니터링
김상훈 차장, Endress Hauser Digital Solutions
Ethernet-APL을 통해 장치상태와 자산을 모니터링 한다. [Endress Hauser는 네틸리온 이라는 강력한 클라우드 SW를 활용하여 이더넷-APL을 합리적으로 컨트롤 한다.
1. 사용 자들의 확장되는 요구사항들: Open: 여러 장비 / 제조업체에 여러 장비 사용이 불편 / Available: 언제 어디서나 관련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액세스한다.
/ Data driven: OT와 IT간의 데이터 중심적인 의사결정 가능 / Secure: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클라우드 보안 / Preventive: 실 시간 데이터의 제공으로 예방적이고 안전한 플랜트 운영 / Connected: 현장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술데이터베이스에 항상 접속.
2. 네틸리온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다음과 같이 해결한다.
Open: 50개 이상의 제조 업체의 필드장치 사용가능 / Available: 현장에서 일을 파악 시 시간이 많이 소요됨 / Data driven: 데이터 기반으로 인한 생산 프로세스 / 지식해제 / 지속적인 개선을 가능케 하는 실시간 데이터 필요 / Secure: 가장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 / Preventive: 공장 가동 중지를 예방/ Connected: 어디에 있든 가능한 지원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3. 자동화 산업[트랜드]: 디지털화 / 인더스트리 4.0 IIoT / NAMUR 개방구조 / 데이터 드라이븐 결정 / 2nd 채널 / 현장레벨기술진화: 공기 식[0.2~1.0kg/cm2 [1개 측정치] / 전기식[4~20mA [1개 측정치] / 스마트하트 / [1개 측정치+추가정보] / 디지털[필드버스] [많은 측정값+추가정보]/디지털[이더넷-APL] [많은 측정값+추가정보]
4. [KEY / 네틸리온] → 최고의 사이버 보안 표준을 준수하는 IT와 OT의 통합 /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지속적인 운영 개선, 위험 완화 및 비용 절감 / 고객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유지보수:
5. [모바일 인벤토리 관리 / 센서[배터리구동]-연결[네틸리온 자동연결]-데이터용량[언제 / 어디서든 제품모니터링]-최적화[시간절약 / 효율성 보유]
6. 정보처리속도 / [Hart보다 10,000배가 빠르고 필드버스 보다 300배 빠른 이더넷-APL]
- Example use cases: Operations / 성능의 최적화 - 더 많고, 빠르며 고해상도의 프로세스 데이터 / 신속한 보고서 작성 / 데이터의 쉬운 제공, 2차 채널을 포함한 NAMUR 오픈 아키텍처 및 클라우드에 대한 지원
- Ethernet-APL / 모니터링과 중복 성을 통해 공장 가용성을 높인다 / MRO / 빠른 장치 교체 및 매개 변수 백업 / 복원 구성, 확인 및 진단에 대한 쉬운 원격 액세스 유연한 공장 확장
- 혁명적 장치구성 / 어떤 장치/어떤 프로토콜/최상의 연결 / 어디에나 사용가능 / 직관적이고 간편함 / 최상의 장치 지원/ 강력하고 견고함 / 항상 최신 상태유지 / 모든 디지털 프로토콜에 무선 또는 유선 장치를 구성 가능/ 구성뿐만 아니라 더 많은 기능수행
발표: 이더넷-APL 기반 최적의 확장형 DCS 솔루션
박강석 차장, 로크웰 오토메이션 소프트웨어 및 제어사업부
최적의 확장형 DCS 솔루션[PLANT PAX]의 요소
간소화된 엔지니어링 / 운영 개선 KPI: / 유지 보수 / 가동 중단 시간 감소 / 예지 / 보전 의사 결정 가능/ 안전 및 보안 / 확장성
최적의 확장형 DCS 솔루션의 요소: 간소화된 엔지니어링
■ 단일 플랫폼을 이용한 복합 제어[효율적인 시스템 통합 및 유지/보수 향상]
- 단일 복합 컨트롤러를 단일 소프트웨어로 제어가능(프로세스, 배치, 세이프티) / 유연하고 강력한 시스템 설계 지원 / 단일 플랫폼을 이용한 시스템 통합 용이 / 이중화 시스템 및 드라이브, 안전, 모션까지 E/IP 기반 구현 / 다중 온라인 접속을 통한 프로그램 개별 수정 가능
■ 간소화된 엔지니어링[다양한 라이브러리 기능을 이용한 설계 능력 향상]
- 신속하고 간편한 시스템 설정 / 사전에 정의된 라이브러리를 통한 엔지니어링 / SAMA Diagram을 통한 프로세스 흐름 확인 용이
■ 심층방어(Defense-in-Depth)
- 물리적 보안 / 네트워크 보안 / 방화벽 / 컴퓨터(시스템) 보안 / 패치 관리, 백신 설치 / 어플리케이션 보안 / 장치 강화
■ 다양한 IO 네트워크 구성 지원
- 단일/이중화 IO 통신 모듈지원 / RING(DLR), STAR(PRP)를 사용한 네트워크 다양성 / PRP (Parallel Redundancy Protocol) / 데이터에 대한 두 개의 활성경로를 제공하는 두 개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구성.
■PLANT PAX DCS 구성
로크웰오토메이션의 DCS SW인 PLANTPAX는 최적의 확장형 DCS 솔루션의 요소를 갖춘 간소화 엔지니어링이 가능하며 간편한 시스템 설정이 가능 DCS이다. 또한 사이버 보안 시스템 인증규정 준수를 지원하는 아키텍처로 심층 방어에 대한 다중계측 접근 보안 확장성을 보유하여 장비를 동일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고 복합 플랫폼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방형 Ethernet/IP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Ethernet/IP 네트워크 인프라는 신속하고 간소화된 엔지니어링과 간편한 시스템 설정, 스마트 현장 기기와의 프리미어 통합검증이 가능하다. 이 DCS는 리던던시 핫-백업 또한 가능하며 확장형 제어 모니터링[Thin Manager] / 증강현실솔루션[Vuforia] / 머신러닝솔루션[DataFlowML] / IoT 표준플랫폼[Thing worx] /분석 솔루션[Analytics for Devices] 등 5종의 네트워크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통합하였다.
발표: EtherNet/IP 기반 프로세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솔루션
배동욱 부장, 로크웰 오토메이션 소프트웨어 및 제어사업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새로운 사고, 행동 및 달성 방식을 추진하고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적인 모든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에 디지털 기반의 기술을 채택하는 프로세스이다.
Thinking: 비즈니스 모델, 포지셔닝 및 조직 구조와 같이 비즈니스가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방식을 안내하는 높은 수준의 전략/ Doing: 프로세스, 정책 및 예산과 같이 비즈니스가 일상적으로 운영되는 방식을 안내하는 전술적 전략/
Achieving: 기업이 목표와 목표를 향한 진행 상황을 측정하고 추적하는 방법/ OT & IT 부터 센서, 로봇공학, 3D 프린팅, AI, AR & VR, 다양한 분석 기술 등 기술이 가져다주는 모든 기회를 기업 및 산업 발전의 촉매제로 활용하는 모든 행위/ 각 기업의 직원 및 고객, 부품 제조사, 협력사, 관련된 모든 관공서 등 모든 산업의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디지털화에 기업 및 해당 산업은 비즈니스 모델과 업무 절차 과정을 개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대체해야 한다.
Use case
Paper 신문 → Smart Phone/ 서점, 종이 책→ 인터넷 서점 (Amazon), 전자 책/ IBM → PC회사가 아닌 컨설팅 및 IT 솔루션 개발 및 구축/ Factory → Smart Factory/ 상거래 → 전자 상거래/ KODAK (1888~)/ 세계 최대의 사진 & 필름 회사(85~90%)/ 1975년 세계 최초 디지털 카메라 제조: 상용화 하지 않음/ 2012년 파산 보호 신청/ 디지털 산업의 시대 흐름을 잡지 못해 몰락한 대표적 Case(조명 사업 매각한 GE와 대조)/ 사진 & 영화 필름, 화학 제품 등 특허.
Factory Talk Analytics Logix AI
Edge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코드 없는 머신 러닝 솔루션/ PLC 기반의 Control Logix Module 형태의 제품/ 데이터 분석 전문가 없이 간편하게 데이터 연결이 가능한 임베디드 분석 시스템/ 실시간 분석을 통한 설비의 운전 최적화와 예지보전 및 개선 방안 도출.
Digital 기반의 기술
OT & IT/ 센서/ 로봇공학/ 3D 프린팅/ AI - Factory Talk Analytics Logix AI/ Digital Twin with Emulated 3D/ AR with Thing Worx[사물인터넷 플랫폼]
Factory Talk Analytics Logix AI
Edge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코드 없는 머신 러닝 솔루션/ PLC 기반의 Control Logix Module 형태의 제품/ 데이터 분석 전문가 없이 간편하게 데이터 연결이 가능한 임베디드 분석 시스템/ 실시간 분석을 통한 설비의 운전 최적화와 예지보전 및 개선 방안도출 정상 상태에서 습득하고 정상과의 다른 편차를 파악함 일반적인 자동화 시스템 기능을 통해 파악할 수 없으며 알람이 발생안 하는 비정상적인 동작은 스크랩, 결함, 품질이 좋지 않거나 생산을 저하하는 작동을 유발함 /예측 모델은 출력 변수가 운전 범위를 초과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사용/ 다른 방법으로 감지할 수 없는 느리게 변화하는 편차를 파악하면 생산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함. (이사 생략)
디지털 트윈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트윈은 프로세스,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상 모델이다/ 디지털 트윈은 프로젝트의 설계, 시운전 및 운영 단계를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가까운 장래에 대기업의 절반이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여 효율성이 10% 향상될 것이다 / 디지털 트윈은 자동화 시스템의 네 가지 사실을 통합한다. (중간 생략)
이상 5종의 이더넷-APL과 EtherNet/IP 기술을 소개/ 아날로그 PROCESS 계장 기술에서 스마트 팩토리,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기술적 토대로, 프로세스 계장 메이커인 ABB, EMERSON, Endress+Hauser, KROHNE, Pepperl+Fuchs, PHOENIXCONTACT, STAHL, Rockwell Automation, SAMSON, SIEMENS, VEGA 및 YOKOGAWA 기업들과 4대 SDO인 ODVA / PI[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 / OPC FOUNDATION / FieldComm Group 등이 개발에 참여해 이더넷-APL을 세계 PROCESS 계장 국제표준규격으로 만들었다.
IEC 61158-2[2014.7.17], IEEE 802.3cg(10BASE-T1L)[2020.2.5], IEC TS 60079-47:2021[2021.2.3] ODVA TAG Korea는 이더넷-APL을 사용하면 모든 장치기능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메이커에 구애 받지 않고 빠른 설치와 유지보수, PROCESS 계장설계, 시운전의 단순화가 가능하다고 소개하였다. 실제 프로세스 시운전 테스트는 독일의 BASF 공장에서 이더넷-APL을 연결하여 시운전한 결과 현장의 대폭적인 리스크 감소 자산의 최적화, 생산성의 향상, 현장 설계의 간소화, 현장설치의 가속화와 총 소유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과 같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 성공적임을 100% 증명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아날로그 기술에서 디지털 이더넷 기술로 변화할 적기가 지금이며, 이더넷-APL 기술을 통해 현장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이더넷-APL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디지털전환[DX], IIoT. AI 등을 조기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ODVA TAG KOREA는 이 행사를 통해 입증하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