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자체 개발한 분해 기술로 CO2 837만톤 줄인다
  • 2021-12-30
  • 박종배 기자, jbpark@elec4.co.kr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정승일)은 자체 개발한 SF6 분해 기술로 국가철도공단(이사장 김한영)이 보유한 이산화탄소(CO2) 837만톤(SF6 350톤)을 줄일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한전과 철도공단은 28일 ‘2050 탄소 중립’을 제때 달성하기 위해 최현근 한전 전력혁신 본부장과 이인희 철도공단 기술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SF6 분해 기술 공동 활용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은 한전이 개발한 SF6 분해 기술을 철도공단에 확대해 공동 활용하고, 탄소 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상호 공유 등을 협력하기 위해 마련됐다.

SF6(육불화황)는 ‘황’과 ‘플루오린(불소)’의 화합물로 절연 성능이 우수해 전력 설비인 개폐기 등에 절연 가스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CO2의 2만3900배에 달하는 대표 온실가스다.

최근 SF6를 쓰지 않는 친환경 전력 설비로 순서대로 교체하면서 기존 설비에 포함된 SF6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전은 2020년부터 SF6 분해 기술 연구 개발에 착수했고, 고농도의 SF6를 1200°C의 고온으로 열분해하고 유해 물질을 냉각·중화해 무해화하는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2022년 6월 분해 설비 1기 건설이 완공되면 연간 60톤 규모로 처리할 수 있으며, 앞으로 최대 6기까지 건설되면 연간 300톤 이상을 처리해 현재 보유한 6000여톤의 SF6를 2050년까지 전량 무해화할 수 있다.

특히 한전이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개발한 기술을 전력 그룹사는 물론, 다른 공공기관인 철도공단이 보유한 SF6의 처리에도 활용해 국가 관점에서 비용 효율적으로 탄소 중립을 실행해 가는 모범 사례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전력   #태양광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