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수소충전소 확대 "이동형, 지하형 등 초기 전략에 달렸다"
  • 2019-03-22
  • 전동엽 기자, imdy@elec4.co.kr

[전자과학 전동엽 기자] 수소충전소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충전 기압 조정, 이동형 및 생산설비 지하 구축 등의 초기 전략이 성패를 가른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소차를 운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매우 미흡한 상황에서, 초기 수소충전소 보급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여 수소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경일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부 박진남 교수는 토론회에서 “수소충전소 보급은 투자비용의 최소화, 수요자 편의성, 수소충전소 활용률 극대화 등이 요구된다”고 말하며 수소충전소 보급 활성화를 위한 초기 전략을 제안했다. 
 

참고 이미지: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넥쏘' (현대자동차 블로그)

초기 시장에서의 350기압 수소충전소 활용

우선 350기압으로 운영되는 충전소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박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수소전기차를 700기압으로 충전 시 주행거리는 600km 이상이며 350기압으로 충전 시 300km 정도 주행이 가능하다. 수소충전 설비는 700기압과 350기압 두 가지 형태로 구축 가능하다. 

700기압으로 구축하는 것이 훨씬 좋아보이지만 각각 장단점이 있다. 700기압 설비는 고압의 가스로 충전하기 때문에 충전속도가 빠르지만 그로인해 마찰열이 발생해 냉각기가 장착돼야 한다. 또한 국산 기술로는 구축하기엔 아직 기술력이 부족하며 비용도 많이 든다. 

반면 350기압 설비는 상대적으로 충전속도가 느리고 한 번에 이동가능한 거리가 적지만 충전소 구축비용이 저렴하며, 국내 기술 적용도 용이하다. 초기도심지역 수소충전소 구축 시에 350기압 충전소와 700기압 충전소를 혼합하여 구축하면 투자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700기압 수소충전소로 모두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수요 증가로 인해 700기압 수소충전소로 대체해야 할 경우에는 350기압 수소충전설비는 수요가 적은 곳으로 이전설치 할 수 있도록 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다수 보급하는 방식이 효율적이다.”라고 말했다.
 
이동형 및 지하형 수소 충전소 보급 확대

또 다른 제안은 트레일러를 활용한 이동형 수소충전소이다.
이동형 수소충전소를 보급할 경우 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수소전기차가 많지 않은 초기의 수소충전소 수요를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박 교수는 “주변의 수소전기차가 많아지고 일반형 수소충전소가 필요해지면, 이동형 수소충전소는 타 지역으로 이전하고 일반형 수소충전소를 신규 구축하는 방식으로 초기에 인프라를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수소충전소 구축에 있어 부지면적의 협소, 주민 반발 등 어려움이 있는 곳이 많으므로 수소 충전소 설비의 일부를 지하에 구축하여 부지를 최소화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소 관련 설비는 환기시설만 설치하면 지하 구축이 가능하다.

수소생산설비도 그린벨트 내 구축하도록 법 개정해야 

원활한 충전소 설치를 위한 법률 개정의 필요성도 제시됐다.

수소충전소는 이미 국회에 구축이 예정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공공기관과 같은 국유·공유 부지에 구축될 확률이 높다.

그러나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민간 수소충전소의 활성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지 임대료 저감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현행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임대료를 100분의 50의 범위에서 경감할 수 있는데, 박 교수는 초기에 추가경감을 통해 충전사업자 수익을 보전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이 일부 개정돼 그린벨트 내에 수소충전소 구축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부지 여건상 수소생산설비와 수소충전소가 떨어져 구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수소 충전소 뿐 아니라 수소생산설비도 그린벨트 내에 구축 가능하게 개정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자동차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