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텍사스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 이하 TI)는 11월 2일, ‘WEBENCH 미디어 워크숍’을 통해 최신 WEBENCH의 추가 기능에 대해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지면기사 2016-12-05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인 ARM이 11월 15일 연례행사인 ‘ARM Tech Symposia Korea 2016’을 개최했다.
로옴세미컨덕터코리아(ROHM, 이하 로옴)는 11월 22일, 카메라 모듈용 렌즈 드라이버 라인업 확대를 알리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grated)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및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각종 센서와 컨트롤러를 결합한 개발 보드 h센서 플랫폼을 발표했다.
MEMS 기반의 실리콘 타이밍 솔루션이 등장한 지 10년이 지났다. 당시 MEMS 오실레이터를 출시하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던 싸이타임(SiTime)은 시장 판도에 변화를 줄만한 신제품을 들고 나왔다.
지면기사 2016-11-02
협업로봇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기업들의 한국시장 진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덴마크에 본사를 둔 유니버설로봇은 동북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한 조직 개편과 함께 협업로봇의 클린룸 도입 인증도 획득했다
임베디드 비휘발성 메모리(eNVM) 지적자산(IP) 기업인 킬로패스 테크놀로지(Kilopass Technology)가 7 nm 공정의 DRAM 개발을 앞당기는 혁신적인 VLT(Vertical Layered Thyristor) 기술을 공개했다.
초소형, 다차원, 지능화 및 시스템화로 스마트센서 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센서 시장은 2021년 1,906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세상의 모든 기기에 센서가 탑재되는, 이른바 ‘센서 인터넷(Internet of Sensor)’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반도체 산업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M&A다. 환율, 글로벌 경제 위기,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 등으로 시장상황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무엇보다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도체 업계는 새로운 돌파구로 M&A에 몰두하고 있다.
지면기사 2016-10-07
디스플레이 시장이 LCD에서 OLED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매출이 T V용 디스플레이 매출 규모를 앞지르고 있어 올해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매출 규모가 32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디스플레이의 흐름은 OLED로 가닥을 잡아가는 듯하다. 특히 TV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워치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도 OLED가 채택되면서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를 대신해 OLED가 새로운 주인공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나, 퀀텀닷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전 세계적으로 농업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밀농업은 각종 센서, 빅데이터, 드론 등을 활용해 감소하고 있는 농업 인구를 대체하고 효율성을 높여 미래의 식량난을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면기사 2016-09-02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MCU; Micro Controller Unit, 이하 MCU) 시장의 미래가 매우 밝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IoT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32비트 MCU의 사용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약 208억 개에 달하는 사물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기까지 남은 시간 3년 4개월. 2020년이면 세상은 여전히 사람중심이긴 하겠으나 기기들이 연결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본격적인 IoT 세상이 열린다.
3D 센싱 기술이 점차 우리의 삶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이는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된 이후 IoT 기술이 발전하면서 3D센서가 모바일부터 각종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있어서다. 이에 3D 센서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20.4%씩 성장하며 27억 달러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면기사 2016-08-02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말말말]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