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한국레노버(대표 김윤호)가 뛰어난 모바일 생산성과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제작된 새로운 서브 브랜드 ‘레노버 고(Lenovo Go)’ PC 액세서리를 출시했다.
온라인기사 2022-01-24
에어비퀴티(Airbiquity)는 첨단 반도체 솔루션 분야의 주요 공급업체인 르네사스(Renesas)와의 협업 강화를 발표했다. 이번 기술 통합에는 르네사스 R-Car S4 SoC(시스템 온 칩)와 에어비퀴티 OTAmatic® 소프트웨어 관리 플랫폼이 포함된다.
온라인기사 2022-01-21
엔드 투 엔드 제품 엔지니어링 및 제조 회사인 VVDN Technologies가 인도에 5G ORAN 기반 RU 장치(5G ORAN Based RU Devices)를 위한 새로운 엔드 투 엔드 5G 테스팅 랩(Testing Lab)의 도입을 발표했다.
“Wi-Fi 6(와이파이6), 5G 기술 등으로 디지털 연결성이 확대되면서 업종 및 비즈니스에 전반에서 빠르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진행되고 있다.”
SEMI의 최신 팹 전망 보고서(SEMI World Fab Forecast)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이 전년 대비 10% 증가하여 역대 최고치인 980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키오시아가 하나의 셀에 4비트를 담아 처리하는 쿼드 레벨 셀(QLC) 기술을 활용한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인 범용 플래시 메모리(UFS: Universal Flash Storage) 버전 3.1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22-01-20
네패스가 nSiP가 적용된 제품을 첫 양산 출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네패스가 양산 적용한 제품은 파워 스위치 모듈(Power switch module)로 substrate-less 패키지를 구현한 첫 사례이다.
AMD가 데스크톱 및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AMD 라데온™ PRO W6000 시리즈(AMD Radeon™ PRO W6000 Series) 그래픽 카드를 발표했다.
피플앤드테크놀러지의 AI Lab이 한화테크윈과 자동차 번호판 인식(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ANPR)을 포함한 다양한 차량의 정보를 탐지하는 AI 기반의 ‘차량 정보 인식 소프트웨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공간과 콘텐츠에 맞춰 최적화된 사운드를 제공하는 ‘UHD4’ 셋톱박스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일반형 셋톱박스인 ‘UHD4’는 전작인 UHD3 이후 3년만에 출시된 신제품이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는 고입력 임피던스(Hi-Z) 완충 증폭기 ‘BUF80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BUF802는 넓은 대역폭과 높은 슬루 레이트를 통해 신호 처리량을 높이고 입력 안정화 시간을 최소화한다.
지난 1월 개최된 CES 2022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한 옴니비전은 브랜드 개편과 함께 회사의 제품 포트폴리오와 역량도 확장했다. 회사명만 바꾼게 아니라 제품 영역 확장으로 회사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혁신적인 CO2 센서 양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실내 공기질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CO2 센서는 환기 및 에어컨 시스템, 휴대용 실내 공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스마트 스피커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솔루션을 하나카드(대표이사 권길주)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적용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고 20일 밝혔다.
엔비디아는 엔터프라이즈 AI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이 VM웨어 V스피어 위드 탄주(VMware vSphere with Tanzu)에 대한 제작 지원을 추가하고, 도미노 데이터 랩 엔터프라이즈 MLOps(Domino Data Lab Enterprise MLOps)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며, 엔비디아 인증 시스템과 채널 파트너를 확장해 전 세계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말말말]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