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및 건물용 수소연료시장도 확대 전망
"2050년 수소가 글로벌 에너지 수요의 18%를 담당해 이산화탄소를 매년 60억 톤 가량 감축하고,
수소 및 관련 장비에서 연간 2조 5,000억 달러(한화 3000조 원)의 시장과 3,000만 개 이상의 누적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다.
<맥킨지>"
온실가스 배출을 강력하게 규제하는 파리기후협약이 2021년 1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에너지를 만들어낼 때, 이산화탄소 등 배기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는 석유나 배터리에 비해 효율이 매우 높아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에너지원로서 수소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많은 일자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요국 정부는 수소산업 육성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을 발표,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하는 수소경제 육성 정책을 천명했다. 2040년까지 수소차 생산량을 620만 대로 확대하고, 발전용 연료전지 15GW를 보급하여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총 37조 원을 그린 에너지 등 3개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독일은 지난 6월 ‘수소전략’을 발표하며, 90억 유로(12조 3천억 원)를 수소분야 연구개발 등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수소 로드맵’을 통해 수소경제를 2050년까지 1,400억 유로(190조 원) 시장으로 육성하고, 최대 4,700억 유로(648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일본과 중국도 각각 ‘수소연료전지 로드맵’과 ‘연료전지자동차 발전로드맵’을 발표하는 등 수소사회로의 전환을 이미 시작했다.
독자기술과 생산 능력 확보해야
연료비가 없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용이 하락하고 잉여전력이 대량으로 생산되면, 에너지를 장기간 손실 없이 저장할 수 있는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각국 정부의 이산화탄소 규제가 강화되면서 트럭과 버스 등 상용차 분야에서 수소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비율과 신재생에너지 의무설치비율이 상향조정되고 있어 발전 및 건물용 수소연료시장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 정귀일 연구위원은 ‘앞으로 다가올 수소경제의 미래’라는 보고서를 통해, “정부는 수소 로드맵에서 정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하고, 수소 생산과 인프라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으로 균형 있는 수소 생태계를 육성하며,
수소경제의 수출 산업화와 산업계의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며, “산업계도 온실가스 절감 노력이 곧 기업 경쟁력임을 인식하고, 수소의 생산?저장?수송?활용 등에 있어 독자기술 개발과 생산 능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