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신경망 기술, 2026년부터 Arm GPU에 전용 신경망 가속기 도입

2025-08-14
신윤오 기자, yoshin@elec4.co.kr

향후 온디바이스 AI 혁신 토대 마련, AI 기반 그래픽 업스케일러로 프레임당 4ms 처리해 최대 2배 해상도 향상 지원

Arm은 시그래프(SIGGRAPH)에서 업계 최초의 Arm 신경망 기술을 발표하고, 2026년부터 Arm GPU에 전용 신경망 가속기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은 그래픽 렌더링용 GPU 성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려, 특히 모바일 게임을 비롯한 연산집약적 모바일 콘텐츠에서 GPU 작업량을 최대 50%까지 절감한다. 이는 시작에 불과하며, 이번 신기술은 업계 전반의 향후 온디바이스 AI 혁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아울러 Arm은 세계 최초로 공개 신경망 그래픽 개발 키트(neural graphics development kit)를 출시한다. 본 키트는 AI 기반 렌더링을 기존 워크플로우에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개발자들이 하드웨어 출시보다 1년 앞서 개발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Arm의 모든 신경망 기술은 완전 개방형으로 제공되며, 여기에는 모델 아키텍처, 가중치(weights) 및 모델 재학습에 필요한 도구가 포함된다.

현재까지 개발 키트 지원을 밝힌 파트너사로는 엔듀어링 게임즈(Enduring Games), 에픽 게임즈(Epic Games)의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넷이즈 게임즈(NetEase Games), 수모 디지털(Sumo Digital), 텐센트 게임즈(Tencent Games), 트래버스 리서치(Traverse Research)가 있다.

Arm AI 및 개발자 플랫폼 부문 펠로우인 게런트 노스(Geraint North)는 “이번 발표는 모바일에서 데스크톱 수준의 신경망 그래픽이 본격 도입됐음을 의미하며, 온디바이스 AI 전환의 최전선에 있는 게임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rm의 신경망 기술은 게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신경망 기반 카메라 워크로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되어, 업스케일링(upscaling)부터 패스 트레이싱(path tracing)까지 온디바이스에서 대규모로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온디바이스에서 대규모로 그래픽 구현할 수 있는 도구 제공”

개방형 불칸용 Arm 머신러닝 확장 기능은 개발자가 익숙한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AI를 직접 통합할 수 있게 한다. 기존 불칸이 그래픽 및 컴퓨팅 파이프라인을 지원하는 반면, Arm의 확장 기능은 신경망 추론에 최적화된 세 번째 파이프라인인 그래프 파이프라인(Graph Pipeline)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AI를 모바일 렌더링에 그래픽 파이프라인의 네이티브 구성 요소로 손쉽게 통합할 수 있게 된다.

Arm 신경망 슈퍼 샘플링(Neural Super Sampling, NSS)은 개발 키트의 모든 요소를 활용한 Arm의 AI 기반 그래픽 업스케일링 엔진이다. NSS는 이미 포트나이트(Fortnite)와 인피니티 니키(Infinity Nikki) 등을 제작하는 개발사들이 활용 중인 Arm Accuracy Super Resolution(ASR)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NSS는 540p 해상도를 1080p로 업스케일링 하는 데 프레임당 4ms의 처리 시간만을 소요하며, 원본에 가까운 화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전통적인 전체 프레임 렌더링 방식 대비 GPU 워크로드를 최대 50%까지 절감할 수 있으며, 이 절감분을 전력 소모 절감, 더 높은 프레임 속도, 시각 품질 향상 중 필요에 맞게 배분할 수 있다. 또한 NSS는 표면 디테일, 조명, 모션 선명도를 AI로 보존해, 게임 특성에 맞춘 시각적 충실도와 에너지 효율의 균형을 가능하게 한다.

<저작권자©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100자평 쓰기

관련 기사

ARM 관련 기사
오피니언
스타트업이 뜬다
기술 리포트가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