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스마트시티 사업, U-시티 실패에서 얻은 교훈 잊지 말아야
  • 2019-09-05
  • 신윤오 기자, yoshin@elec4.co.kr

소비자 친화적 사업 모델, 민간 비즈니스 모델 개발해야

“스마티시티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친화적인 서비스 모델 개발과 민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4일 개막한 월드스마트시티엑스포(WSCE) 2019 전시회 컨퍼런스 ‘도시 데이터, 비즈니스 그리고 스마트시티’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한 목소리를 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다양한 데이터가 생산, 활용되는 스마트시티에서의 데이터 기반 혁신 비즈니스 전망과 동향, 그리고 우수 스마트시티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과 사례를 공유했다. 



연세대학교 유은정 교수의 사회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앞서 사례 발표에 나선 발표자들이 패널로 나서 스마트시티 시장 확대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했다.  

SK텔레콤 스마트시티 부문의 신용식 유닛장은 “지자체와 스마트라이트 시범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티맵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SK텔레콤과 가로등 관리를 하는 지자체가 협업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게 사업으로 발전하려면 나중에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주체가 누구냐는 문제가 발생한다. 투자 재원이 없는 지자체와 사업모델이 없는 민간 기업이 사업화하는데는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이에 신 유닛장은 지자체와 민간이 하나의 사업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시티 사업은 지자체가 운영할 수 있는 사업은 아닌 것 같고, 민간은 더더욱 아닌 것 같다. 그래서 퍼블릭 프라이빗 파트너십, 즉 PPP(민관협력 모델)에 의해서 발전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그게 예전에 U-시티를 통해서 얻은 중요한 교훈”이라고 지적했다.

대전광역시 최동규 사무관은 “스마트시티 사업은 지자체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민간기업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져갈 수 있는 사업인데 시장을 여는 게 힘들다”며, “시장을 열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사무관은 과거엔 시범 사업이 실제 서비스로 확산되지 않았는데, 현재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사업은 규모가 커서 실증에서 보급까지 이뤄질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소비자 관점으로 사업에 접근해야 한다며, “지자체들이 재정 수준에 맞는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고 소비자들도 거기에 맞게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 데이터와 민간 데이터 함께 공유해야

스마트시티에 있어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데이터의 중요성도 다시 제기됐다.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의 박기은 CTO는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시티 사업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데이터 교환이나 융합을 위해서라도 자체적으로 개별적인 서비스를 사용하면 안 된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가면 지자체간 서비스 호환성이나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활용과 거래도 강조됐다. 상하이 데이터 거래소의 Yong Lu 부사장은 “데이터 거래에 있어서 가격이나 품질, 법 규제 문제가 모두 고려해야 대상”이라며, “데이터 가격은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비용 모델을 만들어 가야하며 정부 정책 관련해서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전광역시의 최 사무관도 “정부에서 공공 데이터 개방 사업을 많이 했었는데 쓸만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공공 데이터도 개방해야 하지만 민간 데이터도 함께 공공 허브에 넣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문제는 중장기적인 과제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5G   #모바일   #빅데이터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페이스북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