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실질적 시스템 적용 통해 시너지 효과 낸다
  • 2018-06-08
  • 김영명 기자

‘2018 국토교통 빅데이터 포럼’…이용자 중심 플랫폼 필요



‘2018 국토교통기술대전’이 서울 코엑스에서 6월 7일~8일 열렸다. 행사 첫날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는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선제적 정책 추진을 위한 국토교통 빅데이터 활용방안과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2018 국토교통 빅데이터 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에서 김재정 국토교통부 기획조정실장은 빅데이터 포럼 세미나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인 빅데이터와 연관해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며 김동한 국토연구원 박사와 천승훈 한국교통연구원 팀장, 황명화 국토연구원 박사를 소개했다.

먼저 김동한 국토연구원 박사는 ‘포용적 국토도시를 위한 공간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빅데이터의 본질은 마이크로데이터이며 동적 데이터다. 장소성, 위치성을 가진 공간 빅데이터는 시간적이고 공간적이며 미시적인 기록의 방대한 집합이 될 수 있다. 또한 포용적 성장의 핵심은 지속적인 성장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공정한 분배로 불평등과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것”이라며 “포용적 성장의 가치는 내용적으로는 소득, 주거, 일자리, 교육 등에서, 공간적으로는 국토, 지역, 도시 등에서 접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한 박사는 “양극화 완화와 포용적 국토도시를 위해서는 공간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용 소프트웨어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공간 빅데이터를 잘 쓰기 위해서는 시각화 부분, 시공간 분석 부분, 시뮬레이션 부분이 잘 묶여야 한다.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는 데이터 구독이 어렵고,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할 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복잡한 분석방법을 빨리 빨리 해결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우리가 사용하는 교통체계가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천승훈 한국교통연구원 팀장은 ‘교통빅데이터 플랫폼(K-View T) 소개 및 활용 방안’을 이야기했다. 그는 “현재 교통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는 교통량, 속도, 밀도의 3가지 데이터이지만 국가교통정책 전반에 기반자료로 활용되는 중요성에 비해 부족함이 많다고 했다. 두 번째로 우리는 차량이 시공간적으로 실제 차량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전혀 모른다. 세 번째로 많은 사람들은 자료를 수집하기도 활용하기도 너무 불편하다. 특히 빅데이터 시대에는 더욱 데이터를 모으기가 힘든데 이를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의 데이터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천승훈 팀장은 View T의 특징을 소개하며 “교통량·속도자료를 기반으로 97%의 데이터 커버리지로 국가전역의 다양한 교통지표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View T에서는 Selected Link Analysis, Time Maps, 주요경로분석, 사용자 혼잡구간 선정 등 개별차량의 이동경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통행패턴 시공간적으로 현실적이고 입체적으로 교통현상을 분석해준다”고 이야기했다. 이와 함께 “View T의 모든 기능은 한두 개의 반복되는 패턴으로 설계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Customizable Display는 이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지도, 지역, 색상 등에서 자유롭게 표출하며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한다. Multi-Level Network를 통해 네트워크간의 연동으로 이용자가 별도의 데이터 매칭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며 View T의 편의성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황명화 국토연구원 박사는 ‘국토교통 빅데이터 추진전략 및 과제’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토교통 빅데이터의 융합활용이 미흡함에 따른 전사적 빅데이터 추진전략과 운영체계를 국내외 사례를 들어 발표했다.

황명화 박사는 해외 주요국의 빅데이터 정책 트렌드는 통합적이고 협력적인 빅데이터 거버넌스의 체계를 마련하고 운영하면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고 이야기했다. “일본은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해 익명가공정보의 기업 활용을 허용한다. 미국은 데이터 기반 정책 수행을 위해 데이터, 데이터 접근성, 분석, 의사결정, 정책성과 개선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행정안전부의 공공데이터 개방 사업·국정과제로 추진하는 공공 빅데이터 센터가 좋은 사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빅데이터의 기술과 거래에 대한 창업 지원 활성화, 통계청은 공공-민간 데이터를 연결로 빅데이터 통계 전문가를 배출”한다는 사례를 들었다.

국토교통부의 빅데이터 사업 현황의 문제점으로 그는 “아직 빅데이터 전문 정책총괄이나 조직은 미비한 상태이고, 데이터 소재 파악의 어려움, 일부 데이터 유통 채널 중복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며 “실질적 빅데이터 운영 기반 구축이 큰 과제로 국토교통 빅데이터 통합 허브를 구축해 국토교통 빅데이터 융합활용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구체적인 실현 방안으로는 “국토부 고유 빅데이터 관련 가이드라인의 개발, 빅데이터·메타데이터와 기준데이터·참조키의 표준화, 빅데이터 융·복합 활용을 활성화와 민간 기관에 빅데이터 활용 지원이 필요”하다며 “IoT와 AI 등 첨단기술 기반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국책연구기관 등과 연계해 지원체계를 구축하며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함을 강조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네트워크   #빅데이터   #자동차   #행사/세미나   #IoT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