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수첩] 걸음마 뗀 한국형 스마트시티가 중국에 배울 점
  • 2017-11-28
  • 오민준 기자, mjoh@elec4.co.kr

지난 11월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 서울특별시는 경찰, 소방, 재난센터와 서울시 전역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 연계해 안전망을 구축, 스마트시티로 만들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스마트시티로 진화하려는 서울특별시의 긴 여정이 이제 막 시작된 셈이다. 

시작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사회 안전망’의 통합과 디지털화다. 서울시(25개 구청), 112, 119, 재난,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 노인 등) 보호 등을 위해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하고 사고 예방, 긴급 상황 시 초동 조치시간을 단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통합플랫폼 구축 공간 마련, 전용망 연결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에서 눈여겨 볼만한 부분은 바로 CCTV의 활용이다. 서울시 25개 구청이 관리하는 6만 8천 대의 CCTV 영상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통합해 경찰, 소방, 구조, 구급 업무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게 됐다.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대형사고 뿐만 아니라 절도, 폭행 등 주위에 도사리고 있는 사건 사고의 예방과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계획은 최근 발표된 한국의 스마트시티 계획 중 가장 의미 있는 사례이지만, 다른 나라의 앞선 사례와 비교하면 시작에 불과하다. 스마트 시티 기술을 선도하는 나라 중 우리가 눈여겨 볼 곳은 바로 중국이다. 중국은 이미 2015년 500개 스마트 시티 계획을 발표했고, 2020년까지 관련 기술 개발에만 500억 위안(약 10조 원), 관련 사업에 총 1조 위안(약 182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직도 구상 단계에 머물러 있는 한국과 달리 중국의 스마트 시티 계획은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협력으로 실증, 구축 단계까지 들어갔다.
 
중국의 이 같은 성과의 배경에는 전자상거래 업체로 유명한 알리바바가 있다. 이 업체는 스마트 시티 플랫폼인 ‘시티 브레인’을 광저우와 항저우에 적용했다. 알리바바는 2016년 10월부터 광저우시에 도로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능형 CCTV를 통해 차량 종류를 비롯해 색상, 번호 등을 확인해 클라우드에 전송하고 이를 분석해 신호등으로 차량 흐름을 효율적으로 통제한다. 그 결과, 오전 9시~오후 1시 사이 차량 흐름을 기존 대비 25.7%, 오후 1시~오후 8시 사이 차량 흐름도 11.8% 개선했다.

알리바바는 220만 대의 자동차가 있는 항저우시에도 1000개 주요 도로 및 교차로에 4000개의 지능형 CCTV를 설치하고 도로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차량 속도를 11%가량 높였다. 중국 내 3번째로 도로 정체가 심했던 것이 10번째로 개선된 결과다. 

이처럼 중국은 이미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용해 도시의 문제를 개선한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발생하는 문제를 스마트 시티 기술로 개선하려는 것으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예산 지원, 관련 기업의 기술이 더해져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스마트시티 계획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상황이다. 스마트 시티를 총괄할 수 있는 정부 조직,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포스코ICT 등 관련 기업과 지자체의 협업 사례가 좀 더 많아져 기술 성숙도를 높여야 한다.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이 망라된 스마트시티 기술은 한국이 잘 할 수 있는 유망 산업이란 점에서 좀 더 체계적인 접근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IoT   #행사/세미나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